![]() (대전=연합뉴스) 양영석 기자 = 1896년 태양력을 채택한 뒤 처음으로 새해 첫날인 1월1일에 천문 현상 월식이 일어나고 있다.2010.1.1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연합뉴스폰> <포토 매거진> |
제 목 : 새해 첫날부터 심상치 않은 하늘의 징조들! | 조회수 : 1728 |
작성자 : 천국백성 | 작성일 : 2010-01-02 |
그런데 블루문은 보는 위치에 따라, 색깔이 달리 보이는데,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블루문(Blue Moon)이 되기도 하고, 레드문(Red Moon)이 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미국에서 올 해(2010년) 1월 1일에 관찰된 블루문은 레드문이었습니다
(아래 사진 첨부함).
우리는 이와 관련하여 성경에 기록된, 예언의 성취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아래의 예언의 말씀을 보십시오.
(욜2:30-31)
30. 내가 이적을 하늘과 땅에 베풀리니 곧 피와 불과 연기 기둥이라
31.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이 이르기 전에 해가 어두워지고 달이 핏빛 같이 변하려니와
(행2:19-20)
19. 또 내가 위로 하늘에서는 기사를 아래로 땅에서는 징조를 베풀리니 곧 피와 불과 연기로다
20. 주의 크고 영화로운 날이 이르기 전에 해가 변하여 어두워지고 달이 변하여 피가 되리라.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이 이르기 전에 달이 핏빛을 낸다 "는 예언 말입니다.
특히 올 해 1월 1일은 1896년 태양력 채택 후에, 1월 1일에 월식이 일어난 처음 해로 기록될 것 같습니다. 아래는 관련 기사를 스크랩한 것입니다.
-------------------------------------------------
연합뉴스 기사전송 2010-01-01 08:33
![]() (대전=연합뉴스) 양영석 기자 = 1896년 태양력을 채택한 뒤 처음으로 새해 첫날인 1월1일에 천문 현상 월식이 일어나고 있다.2010.1.1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연합뉴스폰> <포토 매거진> |
----------------------------------------------
뉴시스 기사전송 2010-01-01 08:35
![]() 블루문은 한 달 동안 2개의 보름달이 뜰 때, 2번째 보름달을 말한다.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뉴시스 기사전송 2010-01-01 08:44
![]() 【뭄바이(인도)=AP/뉴시스】신년을 맞은 1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 상공에 부분월식이 일어난 블루문(Blue Moon)이 관측되고 있다.
------------------------------------------------------------------------------- 새해 전야 20년만에 ‘블루문’ 뜬다!서울신문 원문 기사전송 2009-12-31 10:36 최종수정 2009-12-31 11:16
---------------------------------------------------------------------------
보름달은 음력 15일에 뜨는데 한달에 음력 15일이 하루인 경우에는 한번뜨고
이틀인 경우에는 두번 뜨게 되는 겁니다.
1). 블루문 현상
블루문은 서양에서 양력 한 달 사이에 보름달이 두 번 뜰 때
두 번째 보름달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서양에서는 보름달을 좋지 않게 봐왔기 때문에
한 달에 두번째뜬 보름달은 낯선 현상이었겠죠. 블루문은 19년에 7번씩 옵니다.
물론 블루문이라고해서 보름달이 파랗게 되는건 아닙니다.
그러나 아주 드물지만 먼지나 오염 물질 같은 것이 달빛이 푸르게 바뀌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달의 문제가 아니고 큰 산불이나 화산 폭발 등과 함께 일어납니다.
산불이나 화산 폭발에서 나오는 오염 물질은 보통 먼지에 비해
입자가 훨씬 크기 때문에 모든 파장의 빛을 잘 산란시키므로 푸른색 빛과 함께
붉은색 빛까지 산란이 될 수 있는데 이런 현상이 지속되면
달이 푸른색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산란 : 빛이 어떤 입자에 부딪혀 사방으로 흩어지는 현상)
2). 레드문 현상
보통 달은 흰색 또는 청백색으로 보이지만 대기의 산란 때문에
지평선 근처에 있을 때 주황색으로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파장이 짧은 푸른색 빛은
산란이 잘 일어나 멀리 못가지만 파장이 긴 붉은색 빛은 산란이 잘 일어나지 않아
멀리 까지 갈 수 있습니다. 지평선 근처에서는 높이있을때보다 달빛이 더 많은
공기 입자들을 지나야 하기 때문에 푸른색 빛은 흩어져버리고
붉은색 계통의 빛만 우리눈에 보이는 것입니다.
특히, 태양의 고도가 높은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달의 고도가 낮아지므로
지구 대기에 푸른색 빛이 많이 산란되서 여름의 보름달은 약간 붉게 보입니다.
위의 질문과 마찬가지로 대기중에 먼지나 오염 물질이 많을 경우에도
주황색으로 보일수 있답니다.
또한 개기월식이 일어날 때도 달이 붉은 빛으로 보입니다. 태양, 지구, 달의 위치를 고려할 때 달까지 도착한 빛은 지구의 대기를 지나면서
파란색을 다 잃어버려 붉은 색을 띠게 되는 것입니다 |
---------------------------------------------------------------------
올 새해 전야에는 근 20년만에 처음으로 "블루 문"(blue moon)을 볼 수 있을 전망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블루 문은 푸른 달의 뜻이 아니라 한 달사이 두번 째 떠오르는 보름달을 의미하는데요.
월력상 달의 주기는 29.5일로 양력의 한달과 대부분 일치하기 때문에 보름달은 보통 한달에 한번 떠오르나 이례적으로 두번 뜨는 경우도 있다고합니다.
예를들어 1일이 음력 15일에 해당할 경우 30 또는 31일이 두번째 음력 15일에 해당돼 한달사이 보름달이 두번 뜨게 된다고 하네요
한달에 보름달이 두번 뜨는 경우는 2년 반만에 한 번씩 찾아오나 12월에 두번 뜨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는 것인데요 지난 1990년 12월에 보름달이 두번 뜬 적이 있으며 이때는 미국의 새해맞이 행사가 "블루 문"을 주제로 열릴 정도였다고 합니다.
올 12월1일은 음력 10월15일이었고 30일은 11월15일에 해당돼 1990년 이후 처음으로 12월에 두번째 보름달을 볼 수 있게 됩니다.
블루문이란 용어는 400여년 전부터 사용돼왔으나 그 의미는 서로 달랐다고 해요
말 그대로 푸른 달이란 의미도 있엇고 "아주 드문" 이란 의미도 갖고 있었다고 하네요.
현재의 의미는 미국 메인 주 농민들이 사용하는 천문역서에서 한시즌(3개월)에 3번째 나타나는 보름달을 지칭하는 것이었으나 한 천문잡지가 이를 잘못해석하는 바람에 한달에 두번째 나타나는 보름달의 의미로 굳어졌다고 합니다.
------------------------------------------------------------
뉴시스 기사전송 2010-01-01 10:25
![]() 【오마하(미 네브라스카주)=AP/뉴시스】31일(현지시간) 미 네브라스카주 오마하의 80번 교차로 상공에 블루문이 휘영청 떠있다.
|
-----------------------------------------------------------------
AP연합뉴스 기사전송 2010-01-01 14:28
![]() 31일 미국 캔자스대학 캠퍼스 위로 샛노란 "블루문"이 떠오른 모습. 블루문은 한 달 사이 두 번째 떠오르는 보름달을 뜻한다. (AP=연합뉴스)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연합뉴스폰>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전체댓글 0
이전글 : 송구영신 예배^^ | |
다음글 : 요즘은요~ | |
이전글 다음글 | 목록보기 |